인사이트

인사이트리포트

디지털프렌스포메이션 최신 정보 및 트렌드를 제공합니다.

IT 트렌드 데이터 관리

환경안전 기준정보/프로세스 혁신 사례

2022.10.11유찬재 이사
다운로드

들어가며

에스코어는 앞선 인사이트 리포트를 통하여 ESG경영과 EHS영역의 데이터 관리를 주제로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영역의 필수 기준정보로서 시설·설비, 물질, 임직원 정보의 중요성과 EHS분야의 설비(Equipment), 물질(Material)에 대한 기준정보 관리체계의 혁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ESG 경영을 위한 기준정보 관리체계 수립의 필요성 (2021-09-29)

– EHS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을 위한 기준정보 혁신 (2022-05-18)

이 주제에 대한 연장선에서 실제 환경안전 설비, 물질, 임직원 기준정보 관리체계 수립과 프로세스 혁신 사례를 추진과정 중심으로 제시하며, 특히 첨단제조업에서 기업이 ESG경영의 기반을 구축해 나아가는데 있어서 에스코어가 도움이 되고자 한다.

 

제조업의 공급망 이슈는 ESG/EHS 이슈로도 직결

최근 몇년간 자국에 대한 타국가의 규제, 타 국가간 분쟁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현실화되었다. 특히 생산설비와 소재, 특수/화학물질 등 원·부재료의 안정적 확보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으며 반도체, 2차전지, 디스플레이, 바이오 및 연관 첨단소재 제조업에서는 제품과 생산설비의 생애주기(Life Cycle)의 단축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환경, 안전 실무 업무에서는 설비 투자/설치 단계부터 가동, 폐기까지 관련 환경안전 규제 대응, 인허가 등을 위한 데이터 수집과 보건, 방재업무에 필요한 취급물질, 취급자 정보의 관리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짧아지는 설비/제품의 생애주기에서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역량까지 요구되고 있다.

 

환경안전 정보관리체계의 혁신

그러나 ESG경영과 EHS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는 투자, 공정, 구매, 생산, 인사 등 개별 조직이나 해당 업무 시스템에 산재되어 있고, 환경안전 정보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더라도 여전히 현장의 프로세스와 단절되어 있을 뿐 아니라, 환경안전 내부 정보 조차도 환경, 안전, 보건 각 영역의 개별 정보관리로 시스템과 데이터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것은 대다수의 기업들이 이미 겪어본 일이다. 정보관리 체계 구현방법의 근본적인 변화 없이는 이러한 문제들은 해결될 수 없으며, 에스코어가 수행한 혁신 사례를 과정 중심으로 소개한다.

 

현재 운영수준의 데이터로 환경안전 기준정보 속성정의

환경안전 기준정보 및 프로세스 혁신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생산현장과 환경안전 조직의 데이터 취합/가공에 대한 부담 최소화이다. 환경안전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현장에 요구하는 것은 지양하고, 산재된 현장 시스템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는 작업부터 수행하였다. 또한 각 업무 시스템의 정보를 속성(항목) 단위로 확인하고 관리수준을 평가하였으며, 기존 프로세스/시스템 간 연계정보의 정합성을 검증을 통해 설비, 물질, 사람 각 기준정보 영역별로 기준정보 속성들을 최종 확정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현장의 데이터와 프로세스 운영수준이 확인되었고, 연계 대상 시스템의 데이터와 프로세스가 개선되는 효과도 볼 수 있었다.

연계 대상 프로세스/데이터 범위를 표현한 이미지, Method/Machine 단계에선 기획/투자 - 입고/설치 - 가동/보전 - 폐기, Material 단계에선 평가 - 구매 - 입/출고 - 투입, Man 단계에선 발령/배치 - 생산/보전 활동으로 이어진다.

정의된 기준정보 정합성을 실무 선적용으로 사전 검증

환경안전 설비, 물질, 임직원 기준정보는 단순히 필요한 정보속성들의 집합이 아니다. 설비 설치가 계획되는 순간부터 폐기되기까지 환경안전의 설비 기준정보 또한 즉각적으로 갱신되어야 하며, 설비 별 투입물질, 설비 별 취급 임직원 정보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대한 사전 검증을 위해 에스코어는 고객이 현재 운영중인 시스템에서 설비, 물질, 임직원 정보를 내려 받아 통제된 PC환경에서 통합정보를 사전 구성하였다. 여기에 수개월 간 신규생성/변경되는 정보를 반영하면서 환경, 안전, 보건 영역별로 선정한 각 2~3개 업무를 대상으로 환경안전 실무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Excel 파일 등으로 관리중인 실무 자료와 직접 비교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환경안전 기준정보의 정합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대상 환경안전 업무 선정에 대한 프로세스 이미지, 공정 - 설비 - 설비/물질 혹은 설비/사람 - 환경 혹은 안전, 방재, 보건으로 이루어진다.

환경안전 기준정보의 발전방향

본 리포트에서 소개한 환경안전 기준정보 혁신 사례는 현재 제조업의 환경안전이 수행하는 업무 범위 내에서 필요한 정보의 최소 수준으로 구현되었다고 간주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제품의 LCA를 포함하여 미래의 환경안전에 요구되는 업무수준까지 준비하기 위한 기준정보 관리범위의 확장과 프로세스 혁신은 계속되고 있다.

 

 

# References

- ESG 경영을 위한 기준정보 관리체계 수립의 필요성 (에스코어 인사이트리포트, 2021-09-29, 전준범)
- EHS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을 위한 기준정보 혁신

유찬재 이사

유찬재 이사

컨설팅사업부 데이터컨설팅팀

삼성전자 DS부문에서 환경안전 기준정보 통합과 프로세스 혁신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반도체/배터리/화학/에너지 기업과 다수의 EPC/건설업에서 프로세스 혁신과 시스템 구축 경험이 있습니다.

연관 아티클

  • EU 탄소국경조정제도(EU CBAM)의 이해
    데이터 관리2024.01.23

    EU 탄소국경조정제도(EU CBAM)의 이해

    자세히 보기
  • Battery Value Chain Player들의  ESG 관리 플랫폼 구축 필요성
    디지털 혁신2024.01.17

    Battery Value Chain Player들의 ESG 관리 플랫폼 구축 필요성

    자세히 보기
  • RBAC을 활용한 클라우드 접근제어 강화
    IT 트렌드2023.12.19

    RBAC을 활용한 클라우드 접근제어 강화

    자세히 보기